1. 돈을 함부로 대하는 사람에겐 돈이 다가가지 않습니다.
2. 필요한 건 그 회사의 배당 정책과 배당 비율, 적정 가격대를 찾는 것입니다.
3. 기업의 현금 흐름이 좋지 않으면 이익이 나도 부도가 날 확률이 높아집니다.
규칙적인 수입의 장점은 미래 예측이 가능 - 리스크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4. 주식 폭락장일 때 리스크가 큰 것처럼 보이지만 그 시기가 리스크가 가장 줄어 있는 때입니다. 반대로 상승장에서 리스크가 큽니다. (거품)- 저점에 매수하세요. 리스크와 통계는 관련성이 없습니다. 인문학적 지식으로 리스크 이해, 오랜 기간 부자인 사람들의 철학 이해를 하세요. (워런 버핏, 벤저민 그레이엄, 하워드 막스, 앙드레 코 스톨리니)
5. 돈을 버는 기술, 돈을 모으는 능력, 돈을 유지하는 능력, 돈을 쓰는 능력 모두가 갖춰져야 부자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6. 경제 전문가는 경기를 예측할 수 없습니다. 그들이 틀린 건 기록에 사라지고 맞는 것만 남습니다. 안다고 생각하는 것이 틀렸을 때가 위험합니다.
7. 채권, 예금, 부동산 등 포트폴리오 분배 필요합니다. 적당하게 배분 (10개 종목 포트폴리오는 위험성을 84% 줄여줌 ) 해야 합니다. 자산을 모을 때는 집중 투자, 자산이 자산을 만들어 낼 때는 분산 투자, 주식은 살뿐 팔지 마세요. 배당주라면 더욱 팔지 마세요.
8. 자신이 관심이 있는 분야에서 시총 1위인 기업을 매달 1개라도 구매하세요.-해당 관련 뉴스 주시- 40대엔 자본이 근로소득을 앞지릅니다.
9. 신용카드 금지, 직불 카드만 사용하라. 물건을 아껴 쓰세요. 작은 돈이 곧 큰돈입니다.
10. 한국은행 사이트-경제금융용어 700선 다운로드합니다 금융지식은 곧 생존입니다.
11. 자신을 경영자라고 생각하고 회계장부와 연간 보고서를 봅니다.
품질이 좋은 돈(여유자금, 당장 나갈 이유가 없는 돈)으로 투자. 빚을 없애세요.
12. 싸게 살 때 기다리세요. 끊임없이 들여다봐야 가격 변동의 추이를 알 수 있습니다.
13. 사회 초년생이라면 매달 같은 날 한국에서 가장 큰 주식을 50만 원 산다. 돈을 불리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투자기간입니다. 5, 10,20 개년 자산 운용정책을 만드세요.
14. 원가 10만 원인 보험이 40만 원에 거래됩니다. 개인 자가보험으로 그 돈을 모아두는 게 이득입니다,
최소한의 생명보험 정도만 추천합니다.
15. 한국 신문은 80% 미국 신문은 60% 부정적으로 경제를 서술합니다. 경제 이야기를 하는
것 같다가 정치 내용이 섞인 기사가 대다수입니다. 정치적인 색채를 빼고 읽습니다.
16. 가치투자를 하기 위해선 재무제표를 읽을 줄 알아야 합니다. 성장 초기 회사는 이익보다 매출이 중요합니다.
성장 이후는 당기순이익보다 영업이익이 중요합니다. 현금 흐름 나쁘면 도산합니다. 영업이익이 줄어들고 있으면 위험합니다.
17. 평생 팔 필요 없는 상품을 찾고, 팔아야 한다면 5년 이상 묶어두세요.
18. 개인의 경제활동을 통해 생기는 자본으로 수익이 생겨야 진정한 per입니다. 그것만이 내 돈입니다.
++
여담. 개인적으로는 300페이지가량 되는 분량에 정리할게 에이포 한 장이라니 좀 실망했습니다. 나 역시 돈을 주고 사서 읽은 건 아니고 책이 이벤트에 당첨이 되어서 받은 거긴 하지만요. 굳이 사고 싶다면 도서관에 빌려서 한 번쯤 읽어 보고 그 뒤에 중고 서적으로 사도 괜찮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책의 저자가 이 글을 보지 않길 바랄 뿐이네요.
'[재테크] 한 사람이 사는 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트테크, 월 10만원 그림투자 재테크 (0) | 2022.02.04 |
---|---|
<후기> 투자노트, 주식 다이어리를 써보자 (2) | 2021.02.22 |
ESG의 E(환경)의 기업엔 어떤 기업이 있을까? (ft. 빌게이츠) (0) | 2021.02.17 |
기프티콘으로 최대의 이익을 보는 방법 (1) | 2021.01.07 |
물건 싸게 사는 Tip! (ft. 문화 상품권) (0) | 2020.12.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