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서] 가시가 돋치지 않기 위해

붕대감기, 윤이형. 지금도 각자의 자리에서 살아가는 수많은 여자들을 위해

by Whensummer 2020. 12. 7.
반응형

 출처 unsplash

가지각색의 외모만큼이나 다양한 페미니즘의 양상이 있습니다.

리버럴, 래디컬, 탈코, 비탈코, 결혼, 비혼 페미니스트들. 

이 책은 그들이 서로서로가 어디까지 이해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책입니다. 

너무나도 당연히 평화롭지도 행복하지도 않습니다. 

하지만 여성 연대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같아지는 것'이 아니라 

' 상처 받을 준비가 되어 있는 것'이라는 점을 보고 많은 생각을 하게 됩니다. 

페미니즘은 상처 받지 않기 위해 하는 것이라 생각 했거든요 

 

페미니스트들 사이에 논란이 많은 문제인 탈코르셋 , 꾸밈 노동 부분도 나옵니다.

작가는 이에 대해 자신의 상처를 가리기 위해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고 하면서 코르셋 사용에 관용의 눈길을 줍니다

 

전 그래도 잘 알 수 없었습니다.

화장이라는 것 자체가 남에게 보여주는 나를 

생산해 내기 위한 매개체라고 밖에 생각이 들지 않으니 

그 상처를 가리는 등장인물이 그저 안쓰러웠고, 

언젠가는 제발 평안하게 맨 얼굴로 살길 바랍니다.

 

끝으로

내로남불이란 말처럼

각자의 당위성을 폭력적인 시선으로만 보지는 말자고 권해봅니다.

 

 

 

 

명언 

 진경은 거울일 뿐이었다. 진경을 보며 진경이 아니라 과거의 진실을, 27년 전 고등학교 1학년 교실에 붕대를 
들고 서 있었던, 단지 완전히 성숙하지 못했고 누군가와 이어지고 싶었으나 그럴 수 없어서 엉거주춤 서있던
어린 자신을, 세연은 한없이 미워하고 있었다. 
저는 보통 붕대로 안되나봐요.
걔 붕대가 짧았던 거겠지.
그럴까요?
그럼.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