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나는 이 질문이 불편하다", 안광복 저자, 북크로스 출판사
서평입니다.
책 소제목들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제 생각을 몇가지 적어보겠습니다.
경쟁심리에 대해
내가 제일 싫어하는 사람들의 분류는 셀수 없이 너무나 많지만
그 부류 중에서도 남을 질투하고 경쟁심리를 가지는 사람이다.
정말 어렸을때부터 시기 질투가 일상인 친구를 보며
"왜 저렇게 피곤하게 살까?"
라며 이해를 못했었다. 사실 따지고보면 그런
시기심, 경쟁심리 등이 인류가 발전하는데 많은 기여를 했고,
나 역시 인간으로 살면서 한번도 이런 마음을 가져보지 않았다는 건
거짓말이다. 저자 역시 너그러운 마음을 가지며 경쟁을 즐기는
자세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감정과 책임감
그리고 또 싫어하는 사람 부류는 의리 없는 사람들.
다른말로는 책임이 없는 사람들이라고 할 수 있다.
모든 인간이 책임감이 넘쳤다면 세상은 어떻게 되었을까?
저자는 감정이라는 영어 단어가 그리스어 수동적이라는 단어와
관련이 있다고 하면서 감정이 강한 사람들은 의무를 저버린다고 한다.
기본소득제에 대해
"사람들이 먹고 살만큼 소득이 있어야 시장 경제가 돌아갈 수 있다. 따라서 정부가 소득 이하의 사람들에게 지원해줘야 한다."
라고 글쓴이는 말하고 있다. 게다가 인구 모두가 정부에게 지원받아야 하는 기본 소득 제도 언급하고 있다. 솔직히 돈을 준다는 행위는 일회성이다. 돈은 써버리면 끝이니 돈을 벌 수 있는 수단, 일자리 창출과 기술 배움을 궁극적으로 해야 한다, 기본 소득제를 시행해서 과도한 세금 때문에 부자들이 떠나가고 중산층이 빈민층이 되어서 빈민층이 두꺼워지면 베네수엘라 나라와 똑같아지게 된다.
게다가 기본 소득제를 처음 주장한 비베스 인문학자는
가난한 사람은 일할 의지를 증명함으로써 도움을 받아 마땅한 자격을 얻어야 한다.
라며 주장한다. (비베스의 의견을 중심으로) 따라서 일 안 하고 일 할 생각이 없는 사람에게 돈을 주는 건 자원 낭비다.
게다가 지금도 빈민층은 국가에서 지원도 해주는 마당에 기본 소득이 굳이 필요한가 싶다.
기본 소득 운운할 바에야 차라리 기초수급자들이 진짜 기초수급자인지 부정으로 등록해서 사용하는
사람들이 있는지 더 철저하게 조사하면 답이 나올 것이다. 절대 할 리가 없겠지만 말이다.
내가 인생 살아본 결과 (몸 이픈 분들 제외) 빈민층들 대다수가 일 안 하고 도박 술 여자에 미쳐 어떻게든지 일 안 하려고
버둥거리는 인간들이 대다수다. 이런 상황인데 기본 소득 제라니. 그리고 살아갈 의지, 일할 의지가 있었으면
막노동이라도 해서 (비하 아닙니다. 큰 자격 요건 필요 없이 구할 수 있는 일을 의미합니다.) 돈을 번다.
기본 소득제가 정말 필요하고 효율적이 었다면 진작에 하는 나라가 있지 않았을까?.(후진 한국 말고요.)
핀란드와 캐나다도 이에 대해 실험했지만 효과는 미비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한다.
그 반대 세력들은 빈민층들이 행복해졌다고 기본 소득제는 효과가 있다고 하는데 이것이야말로 배부른 돼지 같은 소리라고 생각한다.
(Ai에 비해서)인간이 잘하는 게 있을까?
이 책을 읽게 된 이유가 이지성 작가의 <에이트> 라는 책을 읽고 인공지능에 밀리지 않으려면 자신만의 생각,
즉 철학을 해야한다 라고 하였다. 철학의 근본이라고 불리는 소크라테스, 플라톤 등의 서적을 찾아보니
읽어볼 엄두가 나지 않았다. 비교적 쉬워보이는 책들을 먼저 살펴보다가 만나게 된게 이 책이다.
이 책의 저자 역시 인공지능에 대체되지 않기 위해서는 항상 생각하라고 한다.
내 미래를 위해서 오늘도 나는 스마트 폰의 시간을 줄이고 책을 읽으며 생각하며
자기개발에 더 힘써야겠다.
'[독서] 가시가 돋치지 않기 위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빨간 머리 앤, 마냥은 즐거울 수 없는 인생 (0) | 2020.12.15 |
---|---|
북파우치 북커버추천, 북파우치란?(ft.다이소 마스킹테이프) (0) | 2020.12.13 |
음복, 강화길. 여성들은 얻기 위해 무엇을 포기했나. (0) | 2020.12.07 |
붕대감기, 윤이형. 지금도 각자의 자리에서 살아가는 수많은 여자들을 위해 (0) | 2020.12.07 |
아이젠, 김남숙. 내 나름의 해석 (0) | 2020.12.07 |
댓글